뷰페이지

[4·13 총선] 김무성 절반의 책임론… 당권 내려놓고 불편한 대권 행보 시작

[4·13 총선] 김무성 절반의 책임론… 당권 내려놓고 불편한 대권 행보 시작

이재연 기자
이재연 기자
입력 2016-04-14 01:36
업데이트 2016-04-14 03: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누리 대권 구도 지각변동

김무성(얼굴) 새누리당 대표에게 20대 총선은 국회의원으로서 마지막 총선이자 2017년 대선을 향한 출발선이었다. 당 대표로서 총선 승리를 이끈다면 여권 유력 대권주자로 순조로운 첫발을 뗄 수 있는 반면 패배 시엔 책임론이 불거지며 행보 역시 불투명해지는 이유에서다. 앞서 이미 선거과정에서 김 대표는 “승패에 관계없이 총선이 끝나면 뒷마무리를 하고 (당 대표직을) 사퇴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패에 가까운 성적표를 받아들면서 김 대표도 책임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을 전망이다.

특히 김 대표 지역구인 부산의 낙동강 벨트 함락을 비롯해 울산·경남의 저조한 결과를 외면할 수 없게 됐다. 대권 행보도 당장은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어 보인다. 다만 친박(친박근혜)계가 주도한 공천 과정에 반기를 들고 계파권력의 무게중심을 잡았다는 점에서 다른 잠룡들 대비 운신의 폭이 넓어질 수는 있다. 김학용 대표 비서실장, 강석호·김성태 의원 등 측근들이 생환한 것은 희망적이다.

당권에선 물러나는 김 대표의 진짜 행보는 이제 시작이다. ‘대표직 조기 사퇴’ 카드를 던진 것도 대선 1년 6개월 전에 당권·대권 분리를 규정한 당헌·당규를 고려한 복안으로 읽힌다. 앞서 새누리당의 선거과정은 내내 가시밭길이었다. 김 대표는 유례없는 내분에 시달렸던 공천 후유증을 수습하고, 바닥에 떨어진 지지 민심을 수습하는 구원투수로 나섰다. 당 대표에 걸맞지 않는 수모도 당했다. ‘공천 살생부’ 파동 때 “정치는 협상과 타협”이라며 ‘30시간 법칙’이라는 비아냥을 무릅쓰고 사과했다. 친박계가 주도한 공천 파동의 와중에 반기를 들고 옥새 투쟁까지 벌였다.

친박계와 비박(비박근혜)계 간 주도권 혈투가 이어지며 ‘일여다야(一與多野) 구도로 여당에 절대 유리할 것’이라는 관측은 빗나갔다. 김 대표는 읍소전략으로 구당(救黨)에 나섰지만 유권자들은 등을 돌렸다.

조기 사퇴 이후 대권 행보를 암중모색할 김 대표의 최대 과제는 청와대와의 관계 설정이다. ‘(박근혜 대통령과는) 아직 강을 건너지 않았다’고 김 대표가 언급했듯, 청와대가 안정적인 정권 재창출을 위해 차기 주자를 낙점하는 과정에서 김 대표는 관계 회복의 제스처를 취해야 한다. 충청 대망론을 등에 업은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등 잠룡들의 대권 레이스가 시작되면, 김 대표는 비박계 바깥으로 외연을 확대해야 한다. 앞서 박 대통령이 ‘여당 속의 야당’을 자처하며 당시 이명박 대통령과 각세우기를 통해 대선주자 입지를 굳힌 것과 달리, 김 대표가 박 대통령을 등지기는 힘들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이유다. 물론 청와대·여당 심판론을 계기로 김 대표가 박 대통령과 자연스레 선긋기에 나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재연 기자 oscal@seoul.co.kr
2016-04-14 9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