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어느 학교에나 있는 향나무이지만/식물세밀화가

[이소영의 도시식물 탐색] 어느 학교에나 있는 향나무이지만/식물세밀화가

입력 2021-10-27 20:22
업데이트 2021-10-28 01: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이소영 식물세밀화가
식물세밀화를 그리면서 스스로 다짐한 것 중 하나는 어린이를 위한 교육만큼은 자주 하자는 것이다. 내 어린 시절을 돌이켜 보면 나무 한 그루와 풀 한 포기를 관찰했던 경험이 자연을 이해하는 데에 큰 도움이 됐다. 더구나 지금 시대의 어린이들은 내 어린 시절보다도 다양한 식물을 만날 기회가 적다. 아파트를 짓고 도로를 내느라 뒷동산은 사라져 가고, 인공적으로 만든 도시 화단에서는 늘 비슷한 식물만을 볼 수 있다. 그래서 더욱 어린이들에게 식물을 그리는 시간이 필요하다. 식물을 그림으로 기록하기 위해서는 식물이 사는 곳, 자연 속으로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최근 몇 년간 개인 작업량이 많아지면서 예전만큼 어린이 교육을 자주 하지는 못하지만, 여전히 열정적인 교사들로부터 교정의 식물을 그림으로 그리는 수업을 해 달라는 요청을 받는다. 그리고 수업을 진행하다 보면 학생들이 생각보다 학교에 사는 식물에 관심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격적인 수업 전에 ‘학교 정원 나무 중 특별히 좋아하는 나무가 있는지’ 묻는다. 한 학생은 “정문 옆에 있는 나무는 잎이 되게 큰데 가을에 노랗게 물들어요”라며 특정 개체의 특성을 설명하기도 하고, 또 다른 학생은 “학교에 무궁화가 있어요”라고 교정의 식물명을 정확히 말하기도 한다.
이미지 확대
향나무는 나무 한 그루에서 뾰족한 바늘잎과 기다란 비늘잎 두 가지 형태의 잎이 난다.
향나무는 나무 한 그루에서 뾰족한 바늘잎과 기다란 비늘잎 두 가지 형태의 잎이 난다.
선생님들은 내게 수업을 제안할 때 “우리 학교 교정에 나무가 그다지 많진 않은데, 그래도 괜찮을까요?”라고 자신 없는 목소리로 말하기도 한다. 막상 학교에 가서 교정을 돌아보면 수십 종의 식물 목록을 기재하게 되고, 이토록 많은 식물이 학교에 있었다며 우리 모두 놀란다. 오래된 학교일수록 나무는 우거지고 식물은 다양하다.

우리나라 초등학교 화단의 나무를 분석한 2007년 연구에 따르면 학교당 평균 41종의 나무가 식재돼 있다고 한다. 학교 화단이라고 해서 특별한 나무가 크는 건 아니다. 개교 당시 주요 조경 식물을 심은 것뿐이고, 이것은 관공서와 공공빌딩 화단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또한 산철쭉, 사철나무, 느티나무, 단풍나무, 은행나무, 소나무, 회양목의 경우 80% 이상의 초등학교에 한 그루 이상은 꼭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학교 교정의 필수 나무’ 중에는 향나무속 두 종인 향나무와 가이즈카향나무도 눈에 띈다. 나 역시 매번 학교 수업 때마다 향나무에 관해 설명해야 했다.

향나무는 이름대로 독특한 향이 나서 향을 피울 때 쓰는 나무다. 지금이야 향을 사서 쓰지만, 옛날에는 향나무 가지를 이용했다. 제사를 많이 지내던 절이나 궁궐에는 향나무가 참 많다. 1970~1990년대엔 향나무가 도시 조경수로 인기였다. 전정(식물의 모양을 다듬는 일)을 하면 원하는 형태로 수형을 만들 수 있고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지도 않다. 교실 창가로 보이는 독특한 수형의 향나무는 내 학창 시절 속 학교 풍경만이 아니었던 것이다.
포복성으로 누워 나기 때문에 도시에서 화단 지피용으로 많이 식재되는 눈향나무.
포복성으로 누워 나기 때문에 도시에서 화단 지피용으로 많이 식재되는 눈향나무.
내가 일하던 수목원 연구실로 가이즈카향나무에 관한 문의가 자주 왔다. 이 나무는 1909년 이토 히로부미가 대구 달성공원에 기념수로 심은 뒤 전국으로 퍼진 것으로 알려졌다. 때문에 관공서와 학교에선 가이즈카향나무를 베어내고 다른 바늘잎나무로 심어 달라는 요청이 많았다.

그러나 가장 최근 연구를 보면 관공서와 학교에 가이즈카향나무가 주로 심어진 것은 1970년대다. 이토 히로부미가 달성공원에 향나무를 심은 때와 시기적 차이가 커서 큰 관련이 없다는 의견도 많다. 또한 가이즈카향나무가 일본 특산식물이거나 일본 원산의 향나무가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분포하는 향나무 중 바늘잎만 있는 개체를 일본에서 육성해 만든 품종이고, 일본의 특정식물이 아닌 세계적으로 이용되는 조경수이기에 우리나라의 가이즈카향나무를 베어내는 것이 수십 년간 살아온 나무를 베는 것 이상의 의미가 있을까 싶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향나무로는 대표종인 향나무와 섬향나무, 눈향나무, 곱향나무, 단천향나무, 연필향나무 등이 있다. 그중 눈향나무는 포복성이기 때문에 땅을 덮는 조경수로도 도시에서 자주 만날 수 있다.

학교에서 학생들과 향나무를 그릴 때에는 바늘잎과 비늘잎이 달린 가지 모두를 그려야 한다고 말한다. 향나무는 나무 한 그루에서 바늘잎과 비늘잎, 두 가지 형태의 잎이 난다. 멀리에서 향나무를 볼 때엔 인간이 만들어 낸 수형만이 돋보이지만, 한 발짝 가까이 다가서면 향나무만이 가진 독특한 향과 잎의 다양성을 발견할 수 있다.

교정에 더욱 다양한 식물종이 식재되기를 바란다. 학교는 어린이와 청소년이 가장 오래 시간을 보내는 공간이기 때문이다.
2021-10-28 2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