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해군 ‘MQ-25A 스팅레이’ 항모 탑재
MQ-25A 함재기 급유 연이어 성공조지 부시함에 탑재해 갑판 적응 실험
“전투기 사거리 늘려 ‘항모킬러’ 대응”
정찰, 전자전 등 전략자산으로도 활용

▲ F-35C에 급유하고 있는 MQ-25A T1 시제기. 미 해군·보잉 제공
‘스팅레이’는 노랑가오리를 의미합니다. 모양이 가오리처럼 생긴데다 긴 꼬리처럼 생긴 호스로 공중급유를 하기 때문입니다. 길이 15.5m. 날개를 폈을 때 최대 너비 22.9m의 이 비행체는 다른 공중급유기에 비하면 크기가 작은 편입니다. 미 해군은 왜 이런 무인기를 개발했을까.

●中 ‘항모킬러’ 피하려면…‘공중급유’ 필요
DF-21D는 사거리가 최대 1700㎞, DF-26은 4000㎞에 이릅니다. 미 해군의 주력기 ‘F/A-18E/F 슈퍼호넷’의 작전반경은 약 600~700㎞입니다. 미 항모가 중국의 군사시설을 공격하려면 어쩔 수 없이 이들 미사일의 사정거리 안에 들어가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호위함이 함대공 미사일로 방어하지만, 무수히 많은 지상 발사 미사일을 모두 막기는 벅찹니다. 그래서 개발한 것이 무인기 스팅레이라는 겁니다.

▲ 미 항공모함 조지 부시함에 실린 MQ-25 T1 시제기. 미 해군 제공
스팅레이는 올해 6월 슈퍼호넷을 시작으로 8월 공중조기경보기 ‘E-2D 호크아이’, 최근엔 스텔스 전투기 ‘F-35C’에 대한 급유 실험에 연이어 성공했습니다. 르와젤 제독에 따르면 이번엔 실제 항공모함에서 이착륙하면서 비행갑판의 바람에 적응하는 실험을 하게 됩니다.
●장기적으론 ‘정찰’ ‘전자전’ 등으로도 활용

▲ F/A-18F 슈퍼호넷에 급유하는 MQ-25A T1 시제기. 미 해군 제공
그는 “구축함에서 헬기를 보내는 대신 (스팅레이가) 밤새도록 해상 사진을 제공할 수 있게 될 것”이라며 “헬기보다 5배 더 빨리 보낼 수 있다면 훨씬 더 많은 정보자산을 얻을 수 있다. 헬기를 계속 보내긴 하겠지만, 부담은 줄어든다”고 자신있게 말했습니다. 첨단 해상 전략자산의 진화가 어디까지 이어질지 우리도 주목해야 하겠습니다.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