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씨줄날줄] 곡물 자급률/전경하 논설위원

[씨줄날줄] 곡물 자급률/전경하 논설위원

전경하 기자
전경하 기자
입력 2022-05-15 20:40
업데이트 2022-05-16 02:0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00g 두부 한 모 값은 크게 두 가지다. 국산콩으로 만들었으면 2000원이 훌쩍 넘는다. 외국산 대두로 만들었으면 1000원대다. 부침가루도 국내산 밀가루 제품은 외국산 밀가루 제품보다 2~3배 정도 비싸다. 우리 땅에서 자란 농산물을 쓰자는 생각에 국내산을 고르려 하지만 2~3배 가격 차이는 부담스럽다.

우리나라는 대표적인 곡물 수입국이다.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곡물 자급률이 19.3%(2020년 기준)다. 일본이 27.3%, 중국 91.1%, 미국 120.1%다. 곡물별로 보면 주식인 쌀(92.8%)을 제외하고는 밀(0.5%), 콩(6.6%), 옥수수(0.7%) 등은 거의 수입한다.

식습관이 바뀌면서 쌀은 갈수록 적게 먹는다. 지난해 국민 한 명이 먹은 쌀은 56.9㎏으로 1991년(116.3㎏)의 절반이다. 섭취량이 가장 많이 늘어난 품목은 육류다. 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민 1인당 연간 육류 소비량은 2000년 31.9㎏에서 2019년 54.6㎏까지 늘었다. 밀 소비량은 1인당 33㎏ 전후로 큰 변화가 없다.

우리나라는 사료의 절반가량을 수입한다. 식량 자급률은 40%를 넘는데 곡물 자급률이 20%가 안 되는 까닭은 사료 때문이다. 축산물 생산에서 사료비가 재료비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세계 곡물값이 오르면 사료비와 고기값도 충격을 받는 취약한 구조다.

사료용 밀은 주로 우크라이나와 러시아에서 수입했다. 두 나라는 전 세계 밀 수출량의 25%를 차지한다. 밀 수출량은 적지만 세계 2위 생산국인 인도가 지난 13일(현지시간) 밀 수출을 금지했다. 인도가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밀 부족분을 보충해 줄 것이라 기대했던 터라 국제시장의 충격이 크다.

식량이 무기가 돼 가는 세상. 우리 정부도 올해 국산 밀 비축물량을 지난해보다 5600t 늘어난 1만 4000t으로 잡고 매입 시기도 한 달 앞당겨 6월 말부터 사들인다. 비축용으로 보관하는 한편 일부는 식품기업에 공급하는 등 밀 관련 비용 일부를 지원한다. 국내 밀 산업이 몰락한 것은 미국의 밀가루 무상원조 탓이 컸다. 정부 정책이 예기치 않던 부작용을 낳는 대표적인 사례다. 식량안보 정책은 필요하지만 자급률을 높이는 데 따른 부작용도 점검해야 한다.
전경하 논설위원
2022-05-16 31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