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전 100달러 중 61달러 뺄 때와 달라
여전히 포트폴리오 중 70%가 주식투자
인플레로 저축 기피, 부동산은 금리 올라
가상화폐·금 등 대체 투자수단들도 내려

▲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AP
월스트리트저널(WSJ)는 15일(현지시간)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자료를 인용해 “2021년부터 주식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에 100달러를 투자했다면 지금까지 이중 4달러만 인출했다”고 보도했다. 2020년 코로나19 발생 초기에는 100달러 중 61달러를 인출했고, 글로벌 금융위기 때는 100달러를 투자하고 이보다 많은 113달러를 뺀 것과 비교해 이례적이다.
올해 들어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나스닥지수는 무려 25.4%가 급락했고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와 스탠더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각각 12%와 16.5%씩 내렸다. 미국개인투자자협회에 따르면 지난달 말 설문에서 59%가 향후 6개월간 주가 하락을 예상하면서 금융위기 이후 가장 높은 답변율을 보였다.
하지만 WSJ는 개인투자자들이 투자 포트폴리오 중 약 70%를 여전히 주식으로 구성하고 있으며 이는 2018년 이후 최고 수준이라고 전했다.
외신들은 원인을 대체투자처의 부재에서 찾았다. 2달 연속 8%를 넘는 인플레이션이 지속되면서 화폐 가치는 하락했고, 비트코인은 지난 한 달간 20% 이상 빠졌다. 채권 금리가 오르면서 채권 가격도 하락했고, 금 시세도 지난 13일 온스 당 1808.2달러로 올해 2월 4일 이후 3개월여만에 가장 낮았다. 그간 미국 부동산 가격이 급등했지만,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대출금리가 오르면서 투자 부담이 커졌다.
워싱턴 이경주 특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