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경찰청장이 잊지 말아야 할 것들/이제훈 사회부장

[데스크 시각] 경찰청장이 잊지 말아야 할 것들/이제훈 사회부장

이제훈 기자
이제훈 기자
입력 2022-08-07 20:32
업데이트 2022-08-08 02: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신임 청장, 경찰국 갈등 풀어야 할 과제
일선 경찰 마음 얻고자 경청 자세 임하고
경찰대 개혁 위한 합리적 방안 마련해야

이제훈 신문국 에디터
이제훈 신문국 에디터
2012년 7월 충북 제천경찰서장을 맡았던 윤희근 경찰청장 후보자는 지구대와 파출소 직원 230여명의 이름뿐만 아니라 출신 지역까지도 다 외울 정도였다. 그만큼 세심하게 직원과 의사소통을 하면서 민원거리를 만들지 않았다는 얘기다. 윤 후보자는 2019년 청주 흥덕경찰서장을 지내면서는 지구대 팀장이었던 청주흥덕서 경찰직장협의회(직협) 민관기 회장과 인연을 맺었다. 그는 전국 직협 회장 대행 역할을 하고 있다. 당시 직협 출범 준비위원회 조직국장이었던 민 회장은 지난달 전국 경찰 중 가장 먼저 행정안전부 내 경찰국 신설 반대 의사 표시를 위해 삭발 시위와 함께 단식 투쟁까지 벌인 인물이다.

이런 상황에서 윤 후보자와 민 회장의 인연은 얄궂다. 다행인 것은 윤 후보자가 경찰서장 시절 민 회장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다는 점이다. 경찰 내부에서 윤 후보자가 인사청문회를 통과해 경찰청장에 취임한 뒤에도 두 사람이 원만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까지 나온다. 한 차례 연기된 윤 후보자의 인사청문회가 8일 열린다. 윤석열 정부 출범 후 첫 치안총수라는 점을 감안할 때 경찰국 신설을 놓고 일선 경찰과 수뇌부, 행안부와의 갈등은 윤 후보자가 경찰청장에 취임하면 반드시 풀어야 할 과제다. 14만 경찰의 뜻을 어루만지지도 못한다면 윤석열 정부의 ‘내치’ 기본이 무너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윤 정부는 ‘좌동훈ㆍ우상민’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법무부와 행안부를 통치 체제의 기본으로 삼고 있다. 두 부서가 바로 내치의 핵심인 까닭에 윤 후보자가 경찰국 신설에 반대 입장을 보이긴 힘들 것이다. 실제로 전임 김창룡 청장이 경찰국 신설에 반대하며 임기 만료를 앞두고 사퇴했지만, 윤 후보자는 이 장관과의 이례적인 면담(?) 등을 통해 경찰국을 받아들이겠다고 한 것도 이런 이유다.

정권 차원에서도 검수완박으로 인한 검찰권 축소로 사정 기능의 축소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경찰을 장악하지 못한다면 내치가 완벽하게 이뤄진다고 볼 수 없다. 특히 경찰의 권한이 커진 상황이라 어느 정도 통제가 필요하다는 인식에 공감하는 바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윤 후보자는 몇 가지 잊지 말아야 할 점이 있다. 정치적 논란을 제외하고 정부조직법 개정을 통해 근거를 명확히 해야 할 경찰국 신설이 제도 개선 논의 석 달 만에 전광석화처럼 이뤄진 것은 사실이다. 이로 인해 지역 치안의 핵심인 전국의 경찰서장급 총경 190여명이 사상 처음 들불처럼 들고일어난 것도 변하지 않는 역사의 기록이다. 류삼영 총경을 대기 발령해 일선의 반발을 누를 순 있지만 나머지 총경이나 일선 경찰의 마음까지 완전히 억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자칫 지구대와 파출소 팀장 등 모든 경찰이 참여하는 전국 경찰회의까지 열렸다면 윤 후보자는 취임 자체가 어려웠을 수도 있다. 그러니 마음을 열고 이들의 얘기를 경청해야 한다.

다른 하나는 경찰대 개혁을 둘러싼 합리적인 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순경 등 일반 출신이 고위직에 진출하는 비율을 20%까지 늘리겠다고 밝혔다. 경찰대 출신인 윤 후보자가 이를 제대로 이행할 수 있을지 걱정스럽긴 하다.

행안부 내 경찰국에는 경찰대 출신이 16명 중 1명뿐이다. 그렇지만 서울경찰청만 해도 청장을 포함해 주요 부장 등 간부 11명 중 7명이 경찰대 출신이다. 이들 없이 과연 서울의 치안 유지가 가능할까. 윤 후보자는 호방한 성격에 후배를 잘 챙기며 현안에 대한 이해도도 높다고 한다. 그렇지만 경찰을 둘러싼 여러 문제점에 대해서는 리더로서의 자질을 보여 주지 못했다. 엄중한 현실을 인식하고 경찰청장 자리를 맞이해야 할 것이다.
이제훈 사회부장
2022-08-08 2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