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교 정신건강의학회가 지난달 정신건강 전문의 6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78.5%가 학교 폭력 피해자를 진료한 경험이 있으며, 이중 90.2%가 학교 폭력 가해자를 상대로 복수를 생각하는 피해자를 진료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47.1%는 구체적인 복수계획을 세우는 피해자를 진료했다.
학교폭력 피해로 극단적 선택을 시도한 환자를 진료한 적이 있는 전문의는 70.0%였다. 학폭 피해자들은 우울, 불안, 대인기피, 학교 거부, 자해 등의 증상을 보였으며, 불면증과 분노조절 어려움 등을 호소했다.
전문의의 84.6%는 학교 폭력 피해와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PTSD)가 연관이 있다는 견해를 내놨다. PTSD로 진단된 경우 3명 중 2명은 불안장애와 우울장애와 같은 정신장애도 겪었다. 또한 전문의의 44.6%는 학교 폭력 피해와 신체화 장애도 연관이 있다고 답했다. 신체화 장애는 정신적 문제로 배나 머리 등이 아프고 가슴이 답답한 증상을 호소하는 것이다.
치료를 받으면 증상은 호전되지만, 후유증은 오래 남는다. 전문의의 31.4%는 학교 폭력이 중단된 이후에도 후유증이 수년 간 지속된 환자를 진료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62.7%는 피해자가 성인이 된 이후에도 후유증이 지속되고 있다고 했다.
한국학교 정신건강의학회는 “학교폭력 피해자가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면 아무리 오랜 시간이 지나도 트라우마를 상기시키는 자극에 의해 당시 고통을 생생하게 재경험할 수 있다”며 “정신 건강 전문가의 개입이 용이하도록 지원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현정 기자